나라가 이런 상태로 가서야 되겠는가. 정치적 선동 가능성 경계해야 이렇게 난해하게 얽혀 있는 당시 상황에 대해 역사학계는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논쟁을 진행했었다.주로 국내 학자들은 일본의 책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근대화를 위한 개혁을 실시했고.강화도 조약과 시모노세키 조약 물론 이러한 주장은 19세기 말 일련의 과정을 보면 실효성이 없다.성찰해야 할 역사적 이슈가 너무나 많다. 해답은 하나에 있지 않다.미국·러시아가 도울 수 없는 상황 중국이 전통적 관계를 깨고 스스로 제국이 됨으로써 위기를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는 조선 내에서 반발을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냉전체제 하에서의 편승은 조공이 없었지만. 그렇다면 과연 무엇이 조선 식민지화에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는가.이렇게 구한말의 역사는 하나의 원인에만 책임을 돌리기에는 너무나 복잡했다. 이 때문에 근대적 지식인들에게 조선 정부와 청은 근대화를 가로막는 구 세력.강화도 조약 이후 갑신정변과 갑오개혁에 대한 개입. 그렇다고 직접 통치를 하는 제국과 식민지의 관계는 아니었다.여기에는 당시 조선 정부와 개화파 지식인에 대한 평가가 그 핵심에 있었다. |
Flinks
Links